북·중·러, 곧 두만강 이용 협의?…"북·러, 중국에 의존도 높이는 중"

홈 > 뉴스/소식 > 뉴스/소식
뉴스/소식

북·중·러, 곧 두만강 이용 협의?…"북·러, 중국에 의존도 높이는 중"

기자님 0 1003 0 0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오른쪽)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023년 9월13일 러시아 동부 블라고베셴스크에서 약 200㎞ 떨어진 치올코프스키시 외곽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AP=뉴시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오른쪽)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023년 9월13일 러시아 동부 블라고베셴스크에서 약 200㎞ 떨어진 치올코프스키시 외곽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AP=뉴시스중국과 러시아, 북한이 조만간 3국 국경을 따라 흐르는 두만강 이용과 관련한 협의를 시작하기로 했다. 일본 매체는 러시아와 북한이 서방 제재에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키우고 있다며, 앞으로 동아시아 안보가 더 불안정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12일(현지시간) 니혼게이자이(닛케이)신문은 중국, 러시아, 북한은 곧 3국을 따라 흐르는 두만강에 대한 회담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매체는 "중국 선박이 북러 영토 부분을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게 되면 내륙 지린성에서 동해로 접근할 수 있게 돼 일본에는 군사적 위협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앞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달 16일 베이징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두만강에 대한 협의 문제를 다뤘다. 양국 정상은 회담 후 공동성명에 "두만강 하류 유역에서 중국 선박의 항행에 대해 북한과 함께 건설적인 대화를 할 것"이라는 내용을 담았다.

두만강 하류 유역은 북·중·러 3개국 국경선과 겹친다. 현재 중국 선박이 두만강을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는 곳은 지린성 동쪽 끝으로 제한돼있어, 중국 선박이 동해(일본식 명칭은 일본해)로 나가려면 약 15㎞ 구간은 러시아와 북한의 승인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 지역은 1860년대까지 중국령이었던 곳으로, 중국은 러시아에 동해까지의 통항을 인정해 달라고 요구해왔다. 두만강 접경지대에 경제특구를 만들어 북·중·러 3국의 공동 발전을 촉구하는 구상도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러시아는 극동 지역에서의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염려해 중국 측 제안에 부정적 반응을 보였다. 닛케이는 그런데도 이번 공동성명에 북러 대화 개시를 담은 배경에는 3국의 역학관계 변화가 자리 잡고 있다고 설명했다.

러시아는 2022년 우크라이나 침략 이후 중국에 대한 에너지 수출을 늘려왔으며 수입 면에서도 전자부품과 자동차를 중국에 의지하고 있다. 러시아의 수입액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율은 우크라이나 침략 전 22%에서 지난해 37%로 상승했다. 북한에서도 포탄 등 무기를 공급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닛케이는 미국과 유럽의 제재로 인해 어려운 경제에 직면한 러시아와 북한이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늘리고 있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중국이 한반도 동쪽에서 동해로 접근할 수 있게 되면 일본을 둘러싼 안보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했다.

마스오 치사코 규슈대학 교수는 "중국 측이 통항시키려는 대형 선박은 해상 경비를 담당하는 중국 해경국 순시선 등을 포함해 동해로 진출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며 "중국 해경국 선박이 동해에서 활발하게 움직이게 되면 센카쿠 열도 주변을 감시하는 해상보안청 선박을 (동해로) 돌리지 않을 수 없게 돼 동중국해 경비가 허술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닛케이는 또 중러 양군이 동해에서 합동군사훈련의 규모를 확대하고 해상과 영공에서 정기적인 합동 순찰을 강화할 것이라며 폭격기 공동비행을 거듭해 온 사실을 언급하기도 했다. 매체는 "사실상 제2 해군에 해당하는 해경국이 가세하면 군사행동의 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며 "중국이 영향력을 키우는 형태로 북·중·러 3국의 군사적 결속이 깊어지면 동아시아의 안보 환경은 더욱 불안정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0 Comments
제목